내년 2월 4일 개막하는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미국이 선수단만 보내고, 정부 사절단은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불참)’을 지난 6일(현지 시각) 공식 발표했다. 미국은 중국 내 인권문제를 근거로 들었다.
이에 중국은 초청한 적도 없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측에 강렬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명한다. 미국에 엄정한 교섭(외교적 경로로 강력히 항의하는 방식)을 제기했다”라며 “앞으로 결연한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갈등이 무역과 첨단기술, 군사 분야에 이어 스포츠까지 확산하는 모양새다.
미국은 민주주의 정상회의(9~10일)에서도 초정국에 ‘외교적 보이콧’ 압박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의에는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과 주요 유럽 국가 등 약 110개국이 초청됐다.
미국이 주도하는 군사동맹 ‘파이브 아이즈’ 회원국(영국·캐나다·뉴질랜드·호주) 모두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상황이다. 일본은 검토 중이다.
반면 프랑스는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을 것을 선언했다.
그렇다면 한국의 선택은?
현재까지 한국은 외교적 보이콧에 대한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은 상황이다.
유념할 것은 한국이 미국의 행보에 발맞추다가는 자칫 중국의 무역 공격을 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9월 기준 한국 수입품목 1만2,586개 가운데 특정국에 80% 이상 의존하고 있는 품목은 3,941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중국 수입 비율이 80%를 넘는 품목은 1,850개로 나타났다. 자동차 차체와 시트 프레임, 항공기 부품 제작에 사용되는 마그네슘 주괴(금속을 가공하기 좋게 주물로 뜬 것)는 전량 중국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막히면 자동차, 스마트폰, 배터리 등의 주요 수출품 생산에 위기가 닥쳐올 수 있다.
또한 ‘한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는 것은 외교적 결례를 범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이와 관련해 지난 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앞장서는 것(외교적 보이콧)은 위험하다”라며 “내년이 한중 수교 30주년인 데다 자기들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 왔는데 바로 3~4년 후 그렇게 한다는 것 자체가 예의가 아니다. 당연히 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올림픽 정신이란 “스포츠를 통해서 심신을 향상시키고 문화와 국적 등 다양한 차이를 극복하며 우정, 연대감, 페어플레이 정신을 가지고 평화롭고 더 나은 세계의 실현에 공헌하는 것”이다.
“미국이 스포츠를 정치화의 도구로 삼고 있다”라는 비난이 쏟아질 수밖에 없으며 이 사안이 국제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만큼, 한국은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지 말아야 한다.